{}
  • 메인
  • 부대규칙
  • 가이드
  • 전투
  • -
  • {"google":[],"custom":["Noto Sans KR"]}
    ×

    모든것의해답42

    섹션 설정
    {}
  • 메인
  • 부대규칙
  • 가이드
  • 직업
  • 기타
  •  고인물

    절 딜사이클 토벌전


    이번 황금의 유산 확장팩은 이전 확장팩과 다르게, The balance 가이드를 한국어 버전으로 번역,의역하여 올려주시는 분들이 없는 관계로

    직업 가이드 모두를 부대에서 자체적으로 번역 및 사진을 수정하여 업로드 해야하기도 하고,  직장과 병행하며 게임을 하기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한국어 버전 업로드 전에 간략하게라도 볼 수 있도록, 글섭 영상 첨부 및 번역전의 The balance 가이드를 그대로 옮겨두었습니다.

    최대한 보기 편한 영상들을 골라 추가하였지만, 파판 직업 가이드 영상들이 많은 종류가 있는 게 아닌 만큼, 시청에 불편함이 있는 영상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일시정지 혹은 영상 속도를 낮추어 천천히, 영상 속 스킬바등을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해당 페이지는, 100LV 이후를 다루는 페이지기에, 레벨링 목적으로 참고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을 고지합니다.

    가급적 7.1 패치 전에 한국어 버전으로 업로드 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고인물

    절 딜사이클 토벌전

    해당 직업 가이드는 글로벌 서버 디스코드 The Balance 및 기타 유저들의 공략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효월의 종언 (6.0) 패치 기준 만렙인 90Lv을 전제조건으로 두고있습니다.

    가장 표준적인 딜사이클로 작성되어있으며, 개인 혹은 토벌대상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합니다.

    딜사이클과 사이클 운용을 위해 알아 두어야 하는 점만을 간략하게 적어둔 공략으로써,

    각 직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나 이해가 필요하다면 참고자료를 확인하거나, 시점영상을 검색해 사용해주세요.

    *해당 문구가 보인다면 6.2 버전으로의 딜사이클로 수정작업 중입니다. 완료후 해당 문구는 사라집니다*


    나이트

    [ Paladin ]

    나이트의 경우 6.2 (PVE 6.28)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나이트는 고난이도 컨텐츠(극,영웅,절) 부터 변형 딜사이클의 사용 빈도가 잦습니다.

    표준 딜 사이클을 외우되, 기회가 되면 가고자하는 컨텐츠의 변형 딜 사이클을 검색해보세요, 변형 딜사이클이 너무 많기에 작성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 - https://www.icy-veins.com/ffxiv/paladin-pve-tank-rotation-openers-abilities

                     - https://upload3.inven.co.kr/upload/2023/01/01/bbs/i14808377283.jpg

    오프닝

    느린 글쿨 오프너

    해당 오프닝은, 느린 글쿨 딜사이클을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두번째 환혹약은 6분(두번째) 임전무퇴의 마지막 글쿨에 사용하여 임전무퇴가 묻지 않은 회한의 검과 꿰뚫는 검격에 적용하고, 나머지는 마법 콤보에 적용합니다.

    만약 글쿨이 2.47초보다 빠른 경우, 두번째 환혹약 사용시점을 1글쿨 더 늦춥니다.

    오프너가 종료된 직후, 딜 사이클(로테이션 1-3) 으로 넘어가며, 글쿨이 2.47초보다 빠른 경우 오프너 용맹의 검 직후 성령의 권능을 깡캐스팅 후 넘어갑니다.

    로테이션

    느린 글쿨 딜사이클

    딜사이클 (로테이션)은 오프너 직후에 바로 이어지며,

    임전무퇴 구간에 두 번의 개입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며, 파멸의 진과 속죄는 쿨마다 사용하되, 최대한 임전무퇴가 유지되는 시간 내에 사용합니다.

    딜 사이클은 오프너 직후 3분 간격으로 반복되며, 임전무퇴와 안식기도는 반드시 쿨타임 마다 바로바로 사용되어야합니다.

    글쿨이 2.47보다 빠르다면 파트3 사이클의 마지막 용맹의 검 직후 성령의 권능을 캐스팅한 후 다시 파트1로 돌아가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전사

    [ Warrior ]

    전사의 경우 6.2(PVE 6.28)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전사 오프닝은 파티 시너지에 맞춰 스킬의 사용을 최대로 사용하는데에 있습니다.

    이는, 일부 기술(원초의 해방,내면의 함성)을 미루거나, 먼저 사용하는 둥 스킬을 사용함에 있어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전사는 평균적으로 글쿨 2.47에 맞춰 있으며, 이보다 빠르거나 느린 글쿨을 가질경우 오프을 돌리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논글쿨기의 시간등을 고려해 상황마다 오프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tanks/warrior/basic-guide/


    오프닝

    표준 오프너

    파티 시너지에 맞춰 전사의 모든 자원을 소모하는 가장 일반적인 오프너입니다.

    글쿨 2.50 까지 원초의 해방 타임에 맞춰 세 번의 참수를 유지 할 수 있습니다.

    오프닝

    선 해방 오프너

    해당 오프너를 사용하기 위해선, 빠른 기술시전시간이 필요합니다. (글쿨 2.40)

    환혹약이 유지되는 13번의 글쿨안에 세번의 내면의 혼돈을 사용하는것이 목표인 오프닝입니다.


    해당 오프너는 원초의 해방 쿨을 조금 앞당기기위해서 사용하는 오프너로

    (ex: 보스가 사라지고.나타나는 경우가 잦을경우 보스의 팝업시간에 스킬을 맞추기위해)

    해당 오프너를 사용하여 얻는 딜적인 이득은 전투마다 다르기에, 가급적이면 표준 오프너를 사용하는것을 권장하고있습니다.

    로테이션

    딜사이클 운용법

    오프닝 이후 돌리는 전사의 사이클은 어느정도 유연성(을 가장한 123콤보와 논글쿨 스킬)을 가지지만,

    사이클을 돌리는데 있어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이 있습니다.


    - 폭풍의 눈 버프를 계속 유지하되, 버프가 7초 정도 남았을때 폭풍의 눈 콤보를 이용해 버프를 갱신합니다.

    - 전사의 논글쿨기(격변,맹공격) 은 쿨마다 사용하되 맹공격의 경우 파티 기믹을 안다는 전제하에 남겨두어도 좋습니다.

    (계속해서 맹공격의 쿨이 돌아가도록 3미만으로 유지, 격변도 동일합니다.)

    - 전사의 함성을 2 미만으로 유지하며, 쿨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 파티 시너지타임 (파티버프시간) 이 시작되면 모든 논글쿨과 전사 게이지를 사용하는 스킬 모두를 사용합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전사의 로테이션은.

    폭풍의 눈 버프를 유지하면서 123콤보를 사용해 전사의 원초 게이지를 모으고,

    논글쿨기는 쿨마다 사용하되, 논글쿨 기술이나 전사의 함성을 "하나씩은" 남겨둔 상태로 사이클을 굴리다 파티 시너지가 올라오면 모아둔 자원을 전부 털어버리는 식으로 사이클을 굴립니다.


     

    암흑기사

    [ Dark knight ]

    암흑기사의 경우 6.2(PVE 6.28)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tanks/dark-knight/openers/

    오프닝

    표준 오프너

    가장 일반적인 오프너로, 보편적인 레이드에서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오프닝

    선 피의열광 오프너

    토벌대상이 빠르게 사라지거나(공격 할 수 없는 상태), 페이즈별 상황에 따라서 피의 열광을 먼저 사용하여 이득을 보려는 사이클입니다.

    로테이션

    사이클 운용방법

    암흑기사의 로테이션은 간단합니다, 환영구현이 돌아오는 시간마다 "최대한" 오프너대로 굴리되, 환영구현이 돌아오는 시간동안

    아래의 부분만 신경써서 굴려주시면 됩니다.

    글쿨기 


    - MP,흑혈이 넘치지 않게 각각 칠흑검,피보라를 사용하여 조절 합니다.

    (여기서 MP의 경우 각 토벌대상의 기믹을 고려하여 "흑야" 쓸 정도는 남겨둡니다.)


    논 글쿨기

    - 2분 파티 버프(파티 시너지 타임) 를 위하여 2번의 칠흑도래와 돌진을 남겨둡니다.

    - 논 글쿨기의 쿨이 돌아오는대로 사용하되 (감염지대,난도질,피의열광,피의칼날) 두번째 피의칼날(1분경) 은 피의 열광이 사용된 후 

    2글쿨까지 미루어 질 수 있습니다(*오히려 미뤄지는것이 2분 파티시너지타임에 맞추어 흑혈과 mp가 넘치는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ex:  피의 열광 사용-> 123콤보 (1,2만 사용) -> 피의 칼날 -> 123콤보 (3 연계 사용) -> 피의 열광 스택 사용(피보라)


     

    건브레이커

    [ Gunbreaker ]

    건브레이커의 경우 6.2 (PVE 6.28)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건브레이커는 토벌 대상에 따라 무자비의 사용시기가 다르기에, 표준 오프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프너를 외워두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건브레이커도 조금씩 유동적인 싸이클을 가지고 있어, 고난이도 컨텐츠를 가시는 분들은 한번씩 건브레이커 시점영상을 통해 사이클 확인을 권장합니다.

    참고자료 :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tanks/gunbreaker/

    오프닝

    표준 오프너

    건브레이커의 표준 오프너, 소일을 간단하고 단순하게 관리가능합니다.
    가급적이면 해당 오프너를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오프닝

    선 무자비 오프너

    전투중 보스가 사라지기(보스를 공격하지 못하는 상태) 전, 날카로운 송곳니/발파지대/무자비를 일찍 사용하기 위한 오프너로,

    보스가 사라지기 전 위의 세 기술들을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만 사용 할 가치가 있는 오프너입니다.

    보스가 사라지는 시점에 따라 조금씩 변형하여 사용해야하는 오프너이기도 합니다.

    오프닝

    번개탄환 오프너

    보스를 중앙에 주차 해야하는 경우, 혹은 메인탱커인 경우 사용하는 오프너입니다.

    잔혹한 탄피 뒤에 무자비를 사용하여 난폭한 송곳니를 세번째 순서로 만들어 표준 오프너와 순서를 동일하게 만들어야합니다.

    닌자가 토둔술로 진입하는 경우나, 보스를 중앙이 아닌 다른곳에 주차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은

    해당 오프너는 표준 오프너보다 DPS가 떨어지기에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 오프너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서브탱커가 도발등으로 보스를 먼저 당겨주면 딜 손실을 조금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로테이션

    딜사이클 운용법

    건브레이커의 딜사이클은 1분을 기준으로 반복되며, 무자비 지속시간 내 9개의 글쿨 기술을 넣는것을 목표로합니다.

    우선, 건브레이커 로테이션은 아래의 조건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기본 콤보 (123 콤보) 를 사용하여 무자비 쿨이 돌아오기 전 3개의 소일을 " 무조건 " 채워야합니다.

    -소일이 없는 상태에서 피의 소일을 사용하여 최대한으로 소일 이득을 봐야합니다.

    -무자비 쿨이 돌아오기전에 소일이 낭비되지 않도록 파열격/운명의 고리를 제 때 사용합니다.


    결론


    건브레이커는 1분마다 표준 오프너와 거의 동일하게 기술을 사용합니다. (무자비 안에 9개의 "글쿨 기술" 을 넣기)

    무자비의 쿨이 도는 동안은, 기본콤보와 피의소일을 통해 소일 갯수를 관리하며 소일이 넘치지 않게 중간중간 파열격/고리를 사용합니다,

    30초마다 난폭한 송곳니 콤보 + 발파지대를 사용합니다. 

    송곳니 콤보가 끊기지 않게, 가급적 아래 사진처럼 송곳니 콤보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백마도사

    [ White Mage ]

    백마도사의 경우 6.2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힐러는 탱커,딜러와 다르게 딜 기술이 적어 딜 사이클이 아니라, 힐 택틱이라는 것을 만들고, 그 사이에 딜 스킬을 집어넣어

    힐 택틱 사이사이에 자신의 딜 스킬을 얼마나 최적화 시키는가에 초점이 맞춰있습니다.

    또한 파티 상태에 따라, 딜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직군이기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직업가이드에서는 간략한 딜 사이클만을 다룹니다. 힐 택틱은 직접 토벌 대상의 공략시트나 시점영상을 보기를 바랍니다.

    참고자료: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healers/white-mage/

    오프닝

    표준 오프너

    백마도사의 표준적인 오프너입니다.

    오프닝

    신속마 오프너

    신속마를 사용한 오프너입니다.

    해당 오프너는 핑이 높은 상태거나, 글쿨 사이에 2개의 논글쿨기를 넣을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오프너이며,

    전투 시작후 60초간 신속마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특수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로테이션

    딜 사이클 운용법

    백마도사의 로테이션은 도트를 최우선으로 유지시키고, 글레어가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 심판과 쾌속마를  쿨마다 사용하는 것 외에는 

    크게 신경써야하는 부분이 없습니다.

    다만 아래부분에 백마도사를 운용하는데에 있어 알아두면 좋을 약간의 팁을 작성해두었으니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매우 작은

    백합 !

    전투중일 때 20초마다 하나씩, 총 3개를 쌓아 둘 수 있는 기술입니다.

    치유의 백합 기술 3개를 사용하면 참담한 마음을 1회 사용 가능하게 됩니다.


    여기서, 치유의 백합 스택을 모아 참담한 마음을 사용하려면 

    총 4번의 글쿨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백합3+피의 백합 시전1) 

    가급적 참담한 마음을 백합이 쌓일때마다 사용해 60초마다 쓰겠어! 의 효율성은 의문이지만 

    " 파티 시너지 타임 (약 2분 기준) " 과 " 환혹약 " 사용 시간에 맞추어

    참담한 마음을 사용하는 것이 rdps 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오버힐을 감안하더라도, 파티 버프가 올라오는 시간에 맞추어 바로 참담한 마음을 사용할 수 있게

    유동적으로 치유의 백합 기술을 사용해, 미리 피의 백합 스택을 쌓아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신성한 축복과 물의 장막

    신성한 축복은 30초의 짧은 쿨타임을 가진, 스택형 기술입니다.

    총 2회까지 축적 가능하며, 약간의 딜레이를 가진 기술이니 만큼

    탱커 버스터가 오기 전에 미리 사용하는편이 좋습니다.

    꼭 탱커 버스터가 아니더라도, 평타 구간에 탱커에게 주거나,

    몸이 약한 딜러직군에게 주는 둥 가급적 계속해서 쿨이 돌아가도록 자주 사용해주세요.


    물의 장막 역시도 신성한 축복과 스킬의 설명만 다를 뿐,

    평타 구간 혹은 탱커 버스터 구간에 맞추어 최대한 자주 사용해주시면 좋습니다.

     

    점성술사

    [Astrologian]

    점성술사의 경우 6.2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힐러는 탱커,딜러와 다르게 딜 기술이 적어 딜 사이클이 아니라, 힐 택틱이라는 것을 만들고, 그 사이에 딜 스킬을 집어넣어

    힐 택틱 사이사이에 자신의 딜 스킬을 얼마나 최적화 시키는가에 초점이 맞춰있습니다.

    또한 파티 상태에 따라, 딜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직군이기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직업가이드에서는 간략한 딜 사이클만을 다룹니다. 힐 택틱은 직접 토벌 대상의 공략시트나 시점영상을 보기를 바랍니다.

    참고자료: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healers/astrologian/

    오프닝

    표준 오프너


    점성술사의 오프닝은 거의 전적으로, 파티 시너지 타임, 파티의 조합, 전투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미리 만들어진 오프너들은 보통의 상황에서 평균적으로  사용되는 오프너입니다.

    표준 오프너의 카드를 뽑고 / 사용하는 (Draw/Play) 부분은 여러분이 뽑은 카드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프너

    가변 오프너


    가변 오프너는, [위상 변화]를 사용하며 밀리는 글쿨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오프너입니다.

    1 글쿨 사이에 2개를 초과하는 논글쿨 기술을 무리하게 사용하면 다음 글쿨 기술을 사용시 필연적으로 밀리게 되므로,

    [위상 변화]가 들어오는 만큼 뒤에 사용하는 기술을 뒤로 미는 원리입니다.


    아제마로 결제해주세요

    카드운용과 점성력

    카드 운용에 있어서, 알아야하는 핵심이 있습니다.

    1. 오프너에서 3개의 카드를 사용 할 것 (정말 순수하게 "카드" 3개를 말하는 것입니다)

    2. 홀수 분에서는 카드 1장,짝수 분에서는 카드 3장을 사용 할 것


    위 두개를 위해서는, 점지가 낭비되지 않는 선에서 (쿨이 계속 돌아가게) 카드를 바로 사용하지 않고, 유지해두어도 괜찮습니다.
    "파티 시너지 타임" 에 맞춰 카드와 점성력을 사용하는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3 - 1 - 3 카드 운용을 외워둔다면,

    파티 시너지에 맞춘 점성력 스킬 정렬이 편해집니다. 가급적 최대한 해당 카드 운용법을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점성력 사용 타임라인 예제입니다.



    점성력의 경우, 반드시 "세 개의 다른 징조" 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세개의 다른 징조가 모이면 더 좋겠지만,  RDPS적으로 따져봤을때 세개의 다른 징조 효과를 위해서 위상변화까지를 쓸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중요한건, 점성력을 사용 할 때마다 " 3개의 징조 " "2개 이상의 각기 다른 징조"  를 사용하는 것임을 외워두세요.


    또한 "점복" 은 쿨마다 사용하고, 소 아르카나로 "왕의 검" 이 나왔을 경우 가급적이면 파티 시너지타임에 맞추어 사용하면 좋지만,

    쿨마다 사용해줘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참고: 6.2의 카드 우선순위는 이렇습니다.

    근딜: (오프너) 용<리<몽<사<"암"<사  / 원딜: 기<음<적<흑<무<솬

               (1,5분) 리<몽<용<사<닌<용(환혹약 먹은)   / 원딜: 무<기<적<음<흑<솬
               (2,4분) 리<용<몽<암<닌<사     / 원딜: 적<음<기<솬<무<흑 

               (3분) 용<리<몽<닌<사               / 원딜: 무<적<음<기<솬<흑

               (6분) 리<용<몽<암<닌<사         / 원딜: 적<음<기<솬<무<흑


    닌자

    [ NINJA ]

    닌자의 경우 6.2(PVE 6.20)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 자료 : - https://docs.google.com/document/d/1hSodhqo-oprQ3QXAAinIjaZ99fPNzNgtnG_q-gJpGrI/edit

    들어가기 전에

    닌자 알아보기

    풍둔술

    글쿨을 15% 줄여주는 인술이며, 위 꽃 모양 UI에 남은 시간이 표시됩니다.

    닌자 딜량의 10% 정도를 책임지므로 절대 끊어져서는 안 됩니다.

    강갑파점 찌르기 콤보, 혹은 바람서슬 스킬로 갱신할 수 있습니다.

    인법 게이지

    특정 스킬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게이지로, 50을 소모해 육도윤회 혹은 분신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버스트 중에도 넘치면 안됩니다.

    오프닝

    표준 오프너

    - 수둔술은 사용 후 피격 판정이 생기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전투 시작 1초 전 미리 사용합니다.

    - 두 오프너의 차이점은 속임수 공격 타이밍뿐입니다. 레이드에 맞춰 딜이 더 잘 나오는 쪽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기본 로테이션

    닌자 기본 운영법

    닌자 딜사이클은 아래의 규칙을 따릅니다.

    - 속임수 공격약탈의 쿨타임은 절대 밀리면 안 됩니다.

    - 속임수 공격과 약탈이 적용된 동안 생사여탈을 포함한 모든 인술과 인법 게이지 등의 자원을 사용해 최대한의 딜을 하는 것이 닌자의 목표입니다.

    - 이를 위해 평소에는 풍둔술이 끊기지 않게 주의하며 123 콤보를 돌립니다.


    속임수 공격의 쿨타임이 20초 남았을 때 수둔술을 사용하고, 홀/짝수 분 버스트를 준비합니다.

    - 홀수 분 버스트에는 속임수 공격과 빙정난류술, 2뇌둔술, 2월영뇌수아/조, 몽환삼단, 최소 2번의 육도윤회가 들어가야 합니다. 순서는 상관 없습니다.

    - 짝수 분 버스트에는 속임수 공격/약탈과 빙정난류술, 2뇌둔술, 3월영뇌수아/조, 몽환삼단, 천지인, 생명의 물, 2~3번의 육도윤회가 들어가야 합니다. 정확히는 약탈이 먼저 들어간 뒤 속임수 공격이 들어가야 하며, 마지막 월영뇌수아/조는 속임수 공격이 끝난 뒤 사용하게 됩니다.

    • - 분신술은 혼자 90초의 쿨타임을 가지고 있으므로 항상 시너지에 맞춰 쓸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잔영 바람칼은 사용하지 않고 남겨두면 이후 짝수 분 시간대 속임수 공격이 들어간 직후 넣을 수 있습니다. 타이밍이 굉장히 빡빡하므로 연습이 필요합니다.


    사무라이

    [ SAMURAI ]

    사무라이의 경우 6.1(PVE 6.10)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후 6.3(PVE 6.30) 버전까지 변화 없습니다.

    참고 자료 : - https://docs.google.com/document/d/1rwJpp7iVnar2HeetfvOoZgiYlfAGAEyq7SRNBQ_F4S0/edit

    들어가기 전에

    사무라이 알아보기

    섬 시스템

    거합술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게이지로, 각각 설섬(12시), 월섬(7시), 화섬(5시)이라고 부릅니다.

    어떤 기본 콤보를 사용했느냐에 따라 다른 섬이 쌓이며, 종류별로 하나 이상은 쌓을 수 없습니다.

    섬 종류와 상관없이 몇 개의 섬이 쌓였는지에 따라 거합술의 효과가 달라집니다.

    또한, 무사도를 사용하면 현재 보유한 섬을 아래의 검기 게이지 10으로 바꿉니다.

    교환비가 나쁘기에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검기/검압 게이지

    빨갛게 빛나는 칼날 부분 게이지는 검기입니다.

    100까지 쌓을 수 있고, 여러 필살검류 스킬들을 사용할 때 필요합니다. 100을 넘으면 딜 손실이 일어납니다.


    칼자루 밑 3개의 다이아몬드형 게이지는 검압입니다.

    묵상, 거합술, 오의파절을 통해 획득할 수 있고, 3스택이 모이면 조파/무명조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3스택 이상 쌓이면 딜 손실이 일어납니다.

    (오직 조파 사용에만 관여하기에 편의상 조파 스택이라고 부르기도 함)

    오프닝

    표준 오프너

    로테이션

    딜사이클 운영법

    사무라이의 딜사이클은 이 순서를 지키며 돌아갑니다.


    1. 먼저 오프너(Opener)를 사용합니다.

    2. 이후 기본 스킬을 돌리며 극딜 스킬들의 쿨타임을 기다립니다. (Cooldown Phase)

    3. 홀수 분(1분, 3분, 5분, ...)이 되면 홀수 분 버스트(Odd Minutes Burst)를 사용합니다.

    4. 다시 극딜 스킬들의 쿨타임을 기다립니다. (Filler + Cooldown Phase)

    5. 짝수 분(2분, 4분, 6분, ...)이 되면 짝수 분 버스트(Even minutes Burst)를 사용합니다.

    6. 다시 극딜 스킬들의 쿨타임을 기다립니다. (Filler + Cooldown Phase)

    7. 3~6번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Filler에 대한 설명은 최하단을 참고해주세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2,4,6번에 사용할 콤보/3번에 사용할 콤보/5분에 사용할 콤보입니다.

    위 콤보를 순서대로 따라하되, 검기/검압 게이지는 넘치지 않도록 적당히 사용합니다.

    심화 운영법-1

    제비반전 이해하기

    제비반전

    사무라이 극딜의 꽃인 스킬입니다.

    60초마다 한 번씩 직전에 사용한 거합술 스킬을 섬 소모 없이, 확정 극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따라서 사무라이는 이 스킬을 쿨타임 낭비 없이 사용하는 것이

    딜에 가장 큰 도움이 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풍화 버프

    화차 스킬을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버프입니다.

    40초간 사무라이의 글쿨이 13% 빨라집니다.

    이 애매한 수치 때문에 사무라이는 글쿨과 딜사이클을 아무리 조절한다 해도

    아무 손해 없이 제비반전을 쿨타임마다 돌릴 수는 없게 됐습니다.

    따라서 어떻게든 손해를 최소화하면서 제비반전의 쿨타임을 맞추기 위해,

    쓸모는 없지만 빈 시간을 최대한 채워 넣기(fill) 위한 목적만을 가지고 있는

    잉여 콤보(Filler Combo)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심화 운영법 - 2

    잉여 콤보(Filler)

    잉여 콤보(Filler)는 아래의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풍화 버프가 적용되었을 때 기준으로 자신의 글쿨이 정확히 2.14/2.07/2.00초이다.

    2. 전투 중 딜사이클을 실수 없이 돌렸고, 보스에게 계속해서 스킬을 사용할 수 있었다.

    (패턴 파훼 등의 이유로 보스를 때리지 못한 시간만큼 잉여 콤보 시간이 줄어듭니다.)



    좌측부터 순서대로 1글쿨, 2글쿨, 3글쿨짜리 잉여 콤보입니다.

    어떤 콤보를 사용할지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글쿨이 2.14초면 2글쿨짜리, 2.07초면 3글쿨짜리, 2.00초면 2글쿨짜리를 두 번 사용한다.

    2. 보스에게 스킬을 사용하지 못하고 칼을 뗀 만큼 잉여 콤보를 줄인다.


    예시) 보스가 보스 중심 원형 공격을 약 2초 동안 사용했고, 그 시간 동안 스킬을 사용하지 못했다.

    이때 사무라이의 글쿨이 2.07초라면 3글쿨짜리 잉여 콤보를 사용해야 하지만, 2초 동안 스킬을 사용하지 못했으므로

    1글쿨(약 2초)을 빼고 2글쿨짜리 잉여 콤보를 사용한다.


    위 딜사이클 운영법 부분의 4,6번 부분에 잉여 콤보(Filler)가 들어가 있습니다.

    60초마다 한 번씩, 자신의 글쿨에 맞는 잉여 콤보를 사용한 후 딜사이클을 이어나가시면 됩니다.

    이론으로 한 번 이해하시고, 딜사이클을 계속 연습하시며 몸으로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꾸준히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음유시인

    [ Bard ]

    음유시인의 경우 6.2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음유시인은 확률성 기술로 인하여 정해진 로테이션을 가지지 않습니다. (오프너는 같습니다)

    참고자료 :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ranged/bard/

    오프닝

    표준 오프너

    음유시인의 표준 오프너 입니다.

    환혹약은 초시계 기준 2초에 도핑하며, 용맹한 사격 시전 후 2글쿨 이후에 전장의 노래와 빛신의 종곡을 동시에 트는것을 권장합니다.


    도트가 가장 우선시되는 직업으로, 용맹한 사격 + 전장의 노래 + 빛신의 종곡이 끝나기 5초 이내로 "반드시" 

    굳은 결의를 사용하여 도트를 갱신해주셔야합니다.


    모든 버프를 시전한 이후에는, 찬란한 화살의 시전 가능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찬란한 화살이 시전 가능할경우 찬란한 화살 시전 "후" 마구쏘기를 시전하고, 시전 불가능일 경우 바로 마구 쏘기를 시전 해주세요.


    정점의 화살은 영혼의 소리가 80 정도일 때 사용하는 것이 더 자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80게이지가 채워지는 시점과 도트 갱신, 찬란한 화살 시전이 겹친다면 정점의 화살 시전을 도트갱신 및 찬란한 화살 뒤로 미루어도 무방합니다

     

    로테이션

    딜사이클 운용법

    로테이션 설명에 앞서, 음유시인은 2분 버스트형 직업으로, 파티 시너지 타임을 조율 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노래 순서

    노래는 여행신의 무곡 - 현인의 담시곡 - 군신의 찬가 순서로,

     각 43 34 43초간 실행하여, 총 120초 (2분)을 강제로 맞추게 됩니다. 

    특히, 현인의 담시곡에서 "초 단위" 로 곡을 넘기게 된다면 본인의 DPS가 떨어지니 주의합시다.

    작은 팁 

    여행신의 무곡은, 버스트 타임에 주된 딜링을 담당합니다.

    시상은 최대 3회 중첩되며, 각 100,200,360의 위력을 가지는 "절대 음감" 기술을 사용 가능합니다.

    곡 실행 2글쿨 이후 빛신의 종곡과 전장의 노래를 이용한 버스트 타임이 있어, 

    여행신의 무곡 + 빛신의 종족 + 전장의 노래가 모두 시전되어있을 때 독사강습과 정점의 화살을 사용하길 추천합니다

    해당곡은 3초에 시상을 털고 2초에 다음 곡으로 넘어가기를 권장합니다.


    현인의 담시곡이 발생하는 시간동안 도트 갱신 , 독사 강습 , 정점의 화살 쿨타임이 돌아옵니다.

    해당 곡은 11초 정도의 지속시간이 남았을때, 다음 곡으로 넘어가기에 그 전에 사혈 화살을 털기를 권장합니다.


    군신의 찬가는, 지속시간이 2초 남았을때, 처음 곡인 여행신의 무곡과 용맹한 사격을 실행시켜 버스트를 준비합니다

    해당 곡의 경우에는 천상의 화살, 그리고 부득이한 경우 굳은 결의를 통한 도트 갱신을 제외하고는 

    일반 공격만을 사용하여 다음 버스트를 위한 자원을 아껴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로테이션의 경우 글쿨기 - 최대 2개의 논 글쿨기 - 글쿨기 식으로 사이클이 이루어지며, 아래의 조건을 지킵니다.


    1. 폭풍화살,맹독화살,굳은결의 / 찬란한 화살,정점의 화살,돌풍 화살 순으로 글쿨기간의 우선순위가 있으며 

    "도트 유지" 를 최우선으로 합니다.

    2. "항상" 노래가 시전되고 있어야 합니다. (노래와 노래별 스킬 시전은 위의 작은 팁을 참고하세요)

    3. 도트가 유지되고 있으며, 프록 기술이 없다면 계속해서 프록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본 기술을 사용해야합니다.


    기공사

    [Machinist]

    기공사의 경우 6.2(PVE 6.28)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 자료 : -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ranged/machinist/basic-guide/


    들어가기전에

    기공사 알아보기

    열기관리

    열기/충전지 두개의 게이지를 관리해야하며, 사용시 열기는 과충전을, 충전지는 자동인형 퀸을 소환합니다.
    두 게이지 모두 50이 넘어야 관련 능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최대 게이지인 100이 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합니다
    .

    핵심

    기공사의 사이클은 표준 오프너(1분)->2분 로테이션(1분) 사용 이후부터는 각자의 열기를 관리하며 
    다음 2분 로테이션이 돌아오기까지 기본콤보와 논글쿨 기술을 사용합니다.
    *반드시 2분마다 버스트 로테이션을 사용해야합니다*


    오프닝

    표준 오프너

    로테이션

    2분 로테이션

    딜사이클 운용법

    - 오프너의 퀸은 충전지 50이 차면 바로 사용합니다.

    - 표준 오프너 기준 1분쯤 회전톱 사용전, 충전지가 70이 차면, 퀸을 소환 하고, 이후 과열 게이지를 일부러 5씩 넘치게 합니다.

    - 2.5 글쿨 기준 정상적으로 사이클을 돌렸다면 1분 12초에 회전톱 - 열슬러그탄 - 열분열탄-사슬닻-드릴-과충전으로 이어집니다.

    - 이후 2분 3초 드릴 사용 직후 충전지100상태의 퀸을 소환합니다.


    기공사의 만렙 딜사이클은 아래의 기본 조건을 따릅니다.

    1. 드릴,사슬닻,회전톱,소이탄은 쿨마다 사용할 것

    2. 2종의 게이지(열기,충전지), 가우스탄, 도탄사격, 정비등의 자원이 넘치지 않게 사용할 것 (1분대 사이클 제외)

    3.자원이 넘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많은 자원을 시너지 타임에 소모할 것(시너지 타임은 파티와 조율합니다)


    기공사의 딜사이클은 "소이탄" 스킬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기공사의 스킬 구조상, 소이탄이 돌아올 때마다 모든 게이지와 스킬들이 완벽하게 정렬되지는 않지만,

    무슨 일이 있어도 "2분마다 소이탄과 2번의 과충전, 최대한 많은 자원을 사용" 하는것을 목표로 해야합니다.

    특히 충전 게이지의 경우, 게이지 50이든 100이든 시간당 주는 데미지는 같지만, 게이지를 많이 모을수록 

    퀸이 더 오래 살아있고, 더 강한 막타를 치게 됩니다.

    이 강한 막타를 시너지에 묻도록 게이지를 조절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무도가

    [ Dancer ]

    무도가의 경우 6.2(PVE 6.28) 패치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ranged/dancer/basic-guide/


    들어가기전에

    무도가 알아보기

    직업 게이지

    게이지 상단바에는 최대 4개의 깃털이 있습니다. 이를 "환상부채" 라 하고, 편의상 "부채스택" 이라 부릅니다. 
    특정 스킬을 사용했을때 획득 가능하며, 부채춤 : 발단 or 전개 스킬 사용시 1개씩 소모됩니다.

    게이지바 중단의 숫자는 "에스프리" 라고 하며, 편의상 "게이지" 라고 부릅니다.

    환상부채와 에스프리 모두 넘치지않게 관리해야하기에, 자주 사용하도록 합시다.

    마주서기

    딜러가 서로 " 동일한 " 장비라는 가정하에 6.2 기준
    사무라이>닌자>몽크>리퍼>용기사>흑마도사>소환사>적마도사>기공사>음유시인 입니다.

    단, " 동일한 " 장비가 아니라면, 근딜>캐스터>원딜 기준으로 장비가 좋은 순으로 마주서기를 줍시다.

    오프닝

    표준 오프너와  2분 버스트 

    무도가는 에스프리 게이지와, 확률 콤보 시스템 때문에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사이클을 돌려야 합니다.

    - 2분 버스트마다 사용하는 스킬의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별똥별 춤 > 검무(게이지 스킬) > 파운틴 폴 > 틸라나 > 리버스 캐스케이드 > 정석 무도 > 기본 콤보 (표준 로테이션 / 아래에 서술)

    - 기교 무도와 공세의 탱고, 플러리쉬는 절대로 쿨이 밀리면 안 됩니다.

    - 부채는 차는 족족 부채춤으로 소모합니다.

    - 기교 무도 효과가 종료되면 부채와 에스프리를 넘치지 않을 정도로 모으고, 다음 버스트를 기다립니다.

    로테이션

    표준 로테이션


    무도가는 단일 타겟 기준, 단순한 로테이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캐스케이드/파운틴 사용 -> 확률로 리버스 캐스케이드/파운틴 폴 사용 가능-> 대상 스킬 사용 -> 확률로 환상부채 1스택 획득

    -> 부채춤:발단 사용 -> 50% 확률로 부채춤:절정 사용 


    무도가의 중요 포인트

    표준 로테이션을 돌리며 부채 스택을 쌓아두고 있다가 기교 무도에 맞춰 한꺼번에 사용하는 것입니다.


    검무의 경우 에스프리 50을 소모하는 가장 강한 글쿨 기술로, 기교 무도에 맞춰 사용하되, 80 이상 에스프리가 모여있을 경우 

    에스프리가 넘칠 위험이 있으니, 그 전에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정석무도의 경우 기교 무도에 맞춰 사용하는것이 가장 일반적이나, 6.08 패치 이후 무도가의 기본콤보가 상향을 받아,
    쿨마다 사용하되 가급적 기교 무도에 맞춰 사용하면 좋다 정도로 바뀌었습니다.


    시너지 타임(파티와 조율) 에는 아래 조건이 맞을 때에만 정석무도를 사용합니다.


    1. 에스프리가 0~30 사이다.

    2. 프록 스킬을 전부 사용했다. 

    -해당 스킬 : 별똥별 춤, 틸라나, 리버스 캐스케이드, 파운틴 폴, 부채춤:절정, 부채춤:결말

    3. 부채가 1개 이하다.

    4. 기교 무도 + 공세의 탱고 지속시간이 4초 이상 남아 있다.


    소환사

    [ Summoner ]

    소환사의 경우 6.2(PVE 6.28) 패치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자료: - https://www.thebalanceffxiv.com/jobs/casters/summoner/basic-guide/


    들어가기전에

    소환사 알아보기


    직업 게이지 - 1

    에테르 순환 게이지는  '생명력 흡수'(단일)나 '생명력 흡입'(광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최대 중첩 수까지 획득하며
    에테르 순환을 소비하는 것으로 '미아즈마 버스트'(단일)나 레벨 40에 배우는 '고통의 불길'(광역) 등을 시전할 수 있습니다.

    직업 게이지 - 2, 3

    좌측은 '바하무트 소환'의 시전과 '피닉스 소환'의 시전으로 인하여 변경되는 HUD와 간소화 된 HUD 입니다.


    바하무트 소환 중 또는 피닉스 소환 중에는 빙의 게이지(3번)에

    '데미바하무트' '데미피닉스'의 남은 지속시간이 표시됩니다.


    '바하무트 소환'또는 '피닉스 소환'을 시전하면 '루비의 신비''토파즈의 신비''에메랄드의 신비'가 부여됩니다.

    1-바하무트 소환 중에는 '루인가'가 '천상의 충격'으로, '트라이디재스터'가 '천상의 불길'로,
    '천상의 흐름'이 '데스플레어'로 각각 변화합니다.


    2-피닉스 소환 중에는 '루인가'가 '영검의 불꽃'으로, '트라이디재스터'가 '연옥의 불꽃'으로,
    '천상의 흐름'이 '재생의 불꽃'으로 각각 변화합니다.

    오프닝

    표준 오프너 


    오프닝

    선 가루다 오프너 

    이곳을 클릭하여 텍스트를 수정하세요
    Please enter text

     

    나이트

    [ Paladin ]

    7.05 버전 

     

     

    딜사이클 추천영상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3분 37초 

     

     

     

     

    전사

    [ Warrior ]

    내용 작성 중

     

     

    딜사이클 추천영상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3분 52초 

     

     

     

    딜사이클

    표준 오프닝

     

    암흑기사

    [ Dark Knight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4분 26초 

     

     

     

    딜사이클

    표준 오프닝

     

    건브레이커

    [ Gunbreake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3분 15초 

     

     

     

    딜사이클

    2.4n 오프닝

     

    백마도사

    [ Whith mage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2분 26초 

     

     

     

     

    학자

    [ Schola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3분 10초 

     

     

     

     

    점성술사

    [ Astrologian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8분 48초 

     

     

     

     

    현자

    [ Sage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26분 20초 

     

     

     

     

    몽크

    [ Monk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몽크의 경우, 오프닝이 여러 버전이 있습니다.  ( 대상의 토벌 시점, 파티의 조합 및 버프 타임등에 따라..)

    따라서, The balance 기준 다양한 오프너 버전 및,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사이클 영상(더블루나)을 첨부하였으니,

    몽크를 주직으로 삼으시는 분들은 가급적 "클리어 프프로그" 를 참조하거나,

    개인이 직접 오프너를 선택하여 사용해주세요.

    프프로그 보는 방법은 상단 전투탭 하단에 작성되어있습니다.

     

     

     

    용기사

    [ Dragoon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딜사이클

    표준 오프닝

     

    닌자

    [ Ninja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딜사이클

    오프닝

     

    사무라이

    [ Samurai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리퍼

    [ Reape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바이퍼

    [ Vipe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8분 20초 

     

     

     

     

    음유시인

    [ Bard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5분 35초 

     

     

     

     

    기공사

    [ Machinist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무도가

    [ Dance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흑마도사

    [ Black Mage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소환사

    [ Sommone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적마도사

    [ Red Mage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처음부터 끝까지 

     

     

     

     

    픽토맨서

    [ Pictomancer ]

    내용 작성 중

     

     

     

     

    [영상 타임라인]

     

    오프닝 및 로테이션 시작 - 9분 45초

     

     

     

    {"google":[],"custom":["Noto Sans KR","Maplestory"]}{"google":["agGridMaterial"],"custom":["Noto Sans KR","Maplestory"]}
    {"google":[],"custom":["Noto Sans KR"]}
    간편하게 만드는 무료 홈페이지 큐샵
    시작하기